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병내일준비적금 완벽 정리! 군 복무 중 돈 모으는 가장 확실한 방법

by 나는이팀장 2025. 3. 26.

군 복무 중인 청년들에게 목돈 마련 기회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정부 금융지원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장병내일준비적금’입니다. 이 제도는 단순한 적금을 넘어, 국가의 금전적 지원까지 더해져 군 복무 기간을 자산 형성의 기회로 만들어줍니다. 이 글에서는 장병내일준비적금이 무엇인지, 누가 어떻게 가입하고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쉽게 풀어 설명하겠습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장병내일준비적금이란?

장병내일준비적금은 병역의무 이행자가 군 복무 중 월급 일부를 적금으로 저축하면, 금융기관의 이자뿐만 아니라 정부가 일정 비율로 매칭지원금을 추가 적립해주는 제도입니다. 즉, 본인의 저축에 정부가 돈을 얹어주는 구조로, 복무 기간 중 돈을 모으고 사회에 나올 때 일정 금액 이상의 자산을 가지고 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책성 금융 상품입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대상은?

대한민국에서 병역의무를 이행 중인 아래 대상자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

현역병

상근예비역

사회복무요원 (병무청 소속)

대체복무요원 (법무부 소속)

대부분의 병역의무 이행자에게 열려 있으며, 병역의 종류에 따라 세부 내용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기간은?

장병내일준비적금은 최소 1개월부터 최대 24개월까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복무 유형에 따라 가능한 가입 기간이 조금씩 다릅니다.

가입기간

장병내일준비적금 월 납입 한도는?

가입 시점에 따라 월 납입 한도도 달라집니다.

2024년까지 : 1인당 최대 2계좌를 개설 가능. 각 계좌당 월 20만원 납입 가능(월 최대 40만원) 

2025년부터: 계좌당 월 30만원, 개인별로 최대 월 55만원까지 납입 가능합니다. 적금은 최소 5만원 단위로 가능합니다.

병무청 월 납입 한도상향
기존가입자 상향 신청

장병내일준비적금의 혜택은?

첫째, 5% 수준의 고금리 이자가 제공됩니다. 2023년 기준 이자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1년 미만: 평균 3.76%

12~16개월 미만: 평균 4.32%

16개월 이상: 평균 5.04%

둘째,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이 주어집니다. 일반 적금 상품은 이자소득세가 부과되지만, 이 상품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셋째, 정부에서 매칭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적금한 원금에 대해 일정 비율의 금액을 더해주는 방식입니다.

가입혜택

 

매칭지원금은 얼마나 받을수 있을까?

매칭지원금은 납입 원금에 대해 다음과 같은 비율로 지급됩니다.

2022년: 33%

2023년: 71%

2024년부터: 100%

즉, 2024년부터 가입하고 만기까지 유지할 경우, 납입한 원금과 동일한 금액을 정부가 매칭하여 총 두 배의 자산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 40만 원을 18개월 동안 적립하면 총 720만 원을 납입하게 됩니다. 여기에 5% 이자(약 28.5만 원)와 함께 정부 매칭지원금 720만 원이 추가되어, 총 약 1,468만 원의 자산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가능 은행은?

다음 14개 은행에서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이 가능합니다.

NH농협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KB국민은행,하나은행,IBK기업은행,대구은행,부산은행,경남은행,광주은행,전북은행,제주은행,수협은행,우정사업본부 (우체국)

가입가능 은행

장병내일준비적금 은행별 금리 비교

동일 은행에서 두 계좌 개설은 불가능하므로 서로 다른 은행을 이용해야 합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방법은?

가입은 본인이 직접 할 수도 있고, 대리인이 대신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본인 가입

신병교육기관이나 자대 전입 이후 가입자격확인서를 발급받고, 희망 은행을 방문해 가입

또는 나라사랑포털 또는 은행 앱을 통한 비대면 가입도 가능

대리 가입

부모 또는 법정대리인이 은행을 방문해 대리 가입

필요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신분증, 가입자격확인서 등

장병내일준비적금 납입 방법은?

세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동이체: 본인의 급여계좌에서 적금 계좌로 자동 이체

급여 공제: 부대에서 지급되는 급여 중 일부를 공제해 적금 계좌로 송금

직접 납입: 본인이 직접 은행 앱 등을 통해 적금 계좌에 송금

주의할 점은 전역 월에는 자동 공제가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본인이 직접 적금 계좌에 송금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납입방법

 

장병내일준비적금 해지 방법은?

대면해지

본인이 직접 은행을 방문하여 해지 신청

병역증, 전역증, 복무사실확인서 등 제출 필요

비대면 해지

나라사랑포털에서 ‘전역확인서(전자지갑)’ 발급 후, 은행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해지 신청

전역 시기와 해지 시점에 따라 매칭지원금 지급 금액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계획적으로 해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정리

매칭지원금은 별도 신청 없이 만기 해지 시 자동 지급됩니다.

납입을 하지 않은 달이 있더라도, 납입한 금액에 대해서는 매칭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전역 이후에는 추가 납입이 불가능하며, 적금은 해지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부모 대리 가입 시에는 가족관계증명서 등 필수 서류가 필요하므로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실제 사례로 보는 수익 예시

수익예시

마무리

장병내일준비적금은 단순한 적금 상품이 아니라, 군 복무를 기회로 만들어주는 정책성 금융 상품입니다. 고금리 이자와 비과세 혜택, 그리고 무엇보다 정부의 매칭지원금이 제공되는 매우 유리한 제도이므로, 군 복무 중이라면 반드시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단순한 소비로 사라질 월급을 미래를 위한 자산으로 바꾸는 기회, 장병내일준비적금으로 만들어보세요.